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형래는 감독일 뿐이고 진중권은 평론가일 뿐이다.
    Essay 2007. 8. 14. 14:05

    '디워'를 둘러싼 논란이 정리될 수 있을지 의문인 가운데 논란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상이 된 진중권 교수가 계속해서 주장을 굽히지 않는 기고를 했다. 물론 그가 그의 주장을 굽힐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진중권 교수의 글을 읽어 보았는데 전문가의 입장에서 쓴 매우 유익하고 흥미로운 평론이었다. 어쩌면 논란이 정리될 필요도 없을 것 같다. 나처럼 슬그머니 빠져 제3자적 입장으로 자리 잡은 사람에게는 논란 자체가 모두에게 유익해 보인다.

    심형래 감독의 '디워'에 대해서는 아직 극장에 가보질 않았기 때문에 여기서 무어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나 역시 오래 전부터 심형래 감독의 도전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그가 성공하기를, 더불어 한국영화가 성공하기를 바란 사람이기 때문에, '디워'의 예고편만 보고도 응원을 해주고 싶은 그런 입장이다. 그러나 심형래 감독에 대해 응원을 보내주고 싶은 마음이 있다고 해서 그의 작품에 찬사만 있기를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혹평이 봇물처럼 쏟아진다고 해도 그 혹평들이 절대적인 것도 아니므로 내 나름대로는 심형래 감독을 응원하겠지만, 혹평에도 일리가 있다면 나는 그점에 수긍할 수 있는 입장이다.
     
    영화와 평론은 대개 그런 관계이다. 꼭 맞아 떨어지라는 법이 없고 오히려 어긋나는 때가 많다. 내가 좋아하고 재밌게 본 영화에 끔찍한 영화라고 혹평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나는 정말 최악의 영화라고 생각하는데 호평을 하고 있는 글을 보게 될 수도 있다. 내가 볼 때는 재밌고 좋았지만 평론을 통해 어떤 한계가 있었구나 깨닫게 되는 때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정말 재미도 감동도 없는 영화였지만 평론을 통해 어떤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때도 있다. 지금은 대중들이 열광하는 영화에 혹평을 한 평론가가 욕을 얻어 먹는 상황(진중권 교수 자신의 표현대로 '공공의 적'으로까지 여겨지는 상황)이지만, 이런 문제가 이전까지는 없다가 '디워'에서 특별히 벌어진 것은 아니다.

    그런데 왜 '디워'에서는 이다지도 거칠게 부딪힐까? 나는 자칭 제3자적 입장이니 양시양비론을 취하는 쪽이다. 대립하는 어느 쪽의 의견을 들어도 수긍할 수 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 점들이 있다.

    일단 영화계의 주류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나 평론가들은 '디워'를 혹평하면서 수준 낮은 작품성이나 애국주의의 폐단을 지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주장에도 일리는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디워'가 보여준 이전까지 한국영화에 볼 수 없었던 성과, 그리고 역경을 딛고 도전하는 심형래 감독에 대한 대중들의 우호적이거나 열광적인 반응도 충분히 그럴 만한 것이지만, 그것이 영화의 모든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심형래 감독은 감독일 뿐이다. 그에게는 찬사가 있을 수도 있고 혹평이 있을 수도 있다. 고생해서 볼만한 영화 만들었으니 이제부터는 찬사만 있으란 법이 없다. 대중은 그가 일군 노력의 성과가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는 판단 아래 그에게 영화의 상업적 성공이라는 선물과 함께 축하를 보내주고 싶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건 그거고 영화비평은 영화비평이다. 더불어 심형래 감독이 '디워'를 끝으로 은퇴하겠다고 마음 먹지 않은 이상 찬사보다는 혹독하고 냉정한 비평이 약이 될 수 있다. 그가 더 좋은 작품으로 미국이라는 거대시장에 계속 도전하겠다는 생각이 있다면 한국 대중들의 응원도 힘이 되겠지만, 그보다는 비록 '혹평'이라는 이름일 지라도 의미 있는 비평이 더 좋은 약이 될 것이다. 한국에서 성공했다고 해서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나는 심형래 감독의 작품에 대해 혹평을 하는 사람들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으며, 그들이 의도했건 안했건 그것은 장기적으로 심형래 감독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여긴다. 심형래 감독이 '디워'에 혼심의 힘을 쏟아 부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지만 그에게는 여전히 부족한 것이 있고 극복해야 할 것이 있다. '디워'는 심형래 감독의 성공이 아니라 그의 가능성을 보여준 시작일 뿐이므로 더 큰 발전을 위해서는 영원하지 않은 찬사에 기쁨을 누리기 보다 혹평에 자극을 받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진중권 교수의 평론도 그런 취지에서 이해하면 된다. 아니 그래야만 한다. '진중권'이라는 사람이 '심형래'라는 사람한테 개인적인 악감정이 있어 그를 몰락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혹평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디워'나 '심형래 감독'에 대한 여러 사정과 배경, 의미들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작품 자체에 대해서만 비평하고 있다. 나는 아직 영화를 보지 않았으므로 그의 비평이 설득력이 있는가를 판단할 수는 없지만 그가 다른 의미들을 떠나 영화 자체의 미학적 구성에 대해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히 알 수 있다. 그것은 설마 대중들이 원하지 않는 혹평일 지라도 잘못된 것이 아니다. 또한 설득력에 관한 판단을 할 수는 없어도 그의 '분석틀'은 견고해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진중권 교수에 대한 누리꾼들의 공격은 정당한 것이 아니다. 진중권 교수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반론 이외에 무차별 비난공세를 감수해야 할 만한 아무런 잘못도 한 바가 없다. 누리꾼들이 그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수는 있어도 그가 한 주장의 의미를 넘어 '공공의 적'인 것처럼 대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생각을 강요하는 것은 진중권 교수가 아니라 누리꾼들이다. 물론 누리꾼들이라고 해서 다 같은 것은 아니다. 그 중에는 진중권 교수의 주장에 대한 정당한 반론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차별 비난공세를 받게 되면 정확히 진중권 교수처럼 될 수밖에 없다. 자신의 주장을 굽힐 수 없는 분명한 이유를 발견하게 되는 것 말이다.

    반면에 누리꾼들의 편에서도 이야기를 하자면 이해가 가는 측면도 없지 않아 있다. 영화계나 평론가들에 대한 누리꾼들이 느껴온 염증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터지게 된 모습도 보이기 때문이다. 사실 허섭스레기 같은 영화에 극찬을 하는 싸구려 평론 아닌 평론은 상품에 관한 '과장광고'로 쓰이기 때문에 넘쳐나고, 가끔 명작이라고 할 만한 영화에 이해하기도 힘든 복잡하고 난해한 평론은 익숙할 정도다. 더욱이 관객을 존중하지 않고 가르치려 드는 평론에 대한 토로도 심정적으로 충분히 공감이 간다.

    이번 논란에서 진중권 교수도 대중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평론태도' 때문에 공격의 대상이 되어 혼자서 비난을 뒤집어 쓰게 된 것이 아닌가 싶다. 그의 주장이 (동의 여부를 떠나) 정당한 것이고 존중받아야 할 것임에는 틀림 없지만, 대중의 입장에서는 다분히 지긋한 아카데미즘(academism)을 느꼈을 것으로 여긴다. 진중권 교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 같은 생소한 개념을 소개하여 나같은 사람에게는 학습의 재미를 주기도 하지만, 대중의 관심은 애초에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있지 않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있어도 재밌고 볼 만하면 되는 것이다. 영화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쓰였는지 여부로도 평가될 수 있지만,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절대적으로 있어서는 안되는 그런 것도 아니며, 그게 있어도 재밌고 볼 만하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좋은 평가를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있었던 고대 그리스에서는 어땠는지 모르겠다. 모르긴 해도 그때의 작품이나 대중도 마찬가지이지 않았을까? 달라진 것이 있다면 당시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오늘날 '진중권' 교수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에서나 현대 대한민국에서나 대중이 모두 아리스토텔레스가 될 수는 없다. 그래야만 할 이유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적 업적을 무시해서가 아니라는 것은 굳이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극작의 기초'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적으로 훌륭한 작품을 만드는데 도움을 얻을 수는 있겠지만,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있는 모든 작품이 쓰레기는 아니다. 누리꾼들이 정중하고 세련되지는 못했지만 결국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별로 인기도 없을 양시양비론이 길어졌다. 앞서 언급했듯이 대립하는 어느 쪽의 의견을 들어도 수긍할 수 있는 점과 그렇지 않은 점들이 있다. 그러나 진중권 교수에 대한 누리꾼들의 무차별 비난공세는 중단될 필요성이 있다. 그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으면 '동의하지 않는다'는 말만으로도 충분한 것을 왜 불필요한 공격, 또는 이해할 수 없는 공격까지 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다. 인터넷의 최대 장점이자 단점은 누구나, 아무렇게나, 쉽게, 되는 대로, 그냥,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이 쉽게 극복될 수는 없겠지만 보다 많은 사람들이 차분히 생각을 조율하고 진지해져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자면, '심형래는 감독일 뿐이고 진중권은 평론가일 뿐'이다. 나는 어느 쪽의 편을 들어야 할 필요성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나로서는 두 사람 모두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인 동시에 내 나름의 비평을 할 수 있는 대상이다. 사람은 누구나 장점과 단점이 있고 생각은 저마다 다르므로 당연한 것이 아닌가. 심형래 감독은 앞으로도 영화를 만들어야 하고 진중권 교수는 평론을 해야 한다. 바라는 것이 있다면 심형래 감독이 진중권 교수를 비롯한 평론가들의 혹평을 새로운 자극제로 받아들여 발전하고, 그래서 다음 작품에 대해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이끌어 내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물론 심형래 감독이 처음부터 평론가들의 비평에 구속될 이유도 없으며, 평론가들의 입장에서도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이 아닌 냉정한 의미에서 비평이 이루어져야 한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때는 누구의 승리도 아니다. 이건 누가 '옳다 그르다'의 싸움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화는 애초에 그런게 아니지 않은가.





Designed by Tistory.